[전대길 CEO칼럼] 케겔(Kegel) 운동의 효과 
[전대길 CEO칼럼] 케겔(Kegel) 운동의 효과 
  • 김민수 기자
  • 승인 2024.08.14 06: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   대   길
(주)동양EMS 대표이사, 수필가 
국제PEN한국본부 이사

예전에 경총 회원사업부장으로 일할 때 회원사인 종근당 김영은 부회장과 하승호 전무가 필자에게 권장한 이야기다. 

소변을 볼 적에는 왼손으로 앞의 벽을 짚고 발바닥 뒤꿈치를 들고 끝까지 보세요. 짬만 나면 항문을 3~5초간 조였다 폈다 하는 운동을 하면 건강에 도움이 됩니다” 나중에 이 운동이 케겔 운동임을 뒤늦게 알았다. 

케겔(Kegel) 운동은 오늘날 전 세계에서 널리 알려진 ‘골반저근육 강화 운동’이다. 주로 여성들에게서 발생하는 요실금이나 출산 후 회복, 그리고 남성의 성기능 강화 등 다양한 건강 문제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놀드 케겔(Arnold Kegel)
 아놀드 케겔(Arnold Kegel)

케겔 운동을 처음으로 창안한 사람은 미국인 ‘아놀드 케겔(Arnold Kegel)’ 박사다.   케겔 박사와 그의 운동법이 어떻게 탄생하게 되었는지? 그리고 케겔 운동이 현대 의학에서 어떤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지에 대해 깊이 알아보았다. 

‘아놀드 케겔(Arnold Kegel)’ 박사는 1940년대에 활동했던 미국의 산부인과 의사로, 골반저근육의 중요성에 주목했다. 그는 많은 여성이 출산 후에 요실금과 같은 문제를 겪는 것을 관찰하며 이에 대한 해결책을 찾기 위해 연구했다. 

케겔 박사는 당시의 의료적 접근법이 대부분 외과적 처치나 보조 기구에 의존하고 있었던 것에 대해 회의적이었으며 비침습적(非浸濕的)이면서도 효과적인 방법을 찾고자 노력했다. 

1948년 케겔 박사가 연구 결과를 발표하며 '케겔 운동'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 운동은 단순하지만, 강력한 골반저근육 강화 운동으로 골반저근육을 수축하고 이완하는 방법을 통해 근육의 강도와 지구력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케겔 박사는 케겔 운동이 여성의 요실금(尿失禁)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입증했다. 이는 여성들에게 좋은 반향을 일으켰다.

케겔 운동의 핵심은 골반저근육, 즉 회음부 주변의 근육을 강화하는 데 있다. 이 근육은 방광, 자궁, 소장, 직장 등 여러 중요한 장기를 지탱하고 있으며 그 강도와 기능이 저하될 경우 요실금이나 자궁 탈출증, 그리고 남성의 성기능 저하와 같은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다.

케겔 운동은 자신의 골반저근육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근육을 인식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소변을 보다가 중간에 멈추는 것이다. 이때 사용되는 근육이 바로 골반저근육이다. 

케겔 운동은 이 근육을 반복적으로 수축하고 이완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매일 규칙적으로 수행하면 근육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의사들이 권장하는 방법은 하루에 3번, 한 번에 10~15회씩 근육을 수축하는 것이다.  수축 시간은 5초 정도가 적당하며 차츰 시간을 늘려갈 수 있다. 이 운동은 서서, 앉아서, 누워서 등 언제 어디서나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중요한 것은 꾸준함과 올바른 근육 사용이다. 

케겔 운동이 발표된 후 많은 임상 연구를 통해 그 효과가 입증되었다. 특히 여성의 요실금 치료에서 탁월한 효과를 보였다. 출산 후 회복 기간을 단축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었다. 

또한, 케겔 운동은 성기능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남성의 경우 케겔 운동은 조루를 예방하며 발기부전(勃起不全)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여성의 경우에는 성감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오늘날 케겔 운동은 의사와 물리치료사들에 의해 널리 권장되고 있으며 온라인 자료와 앱을 통해 쉽게 접근할 수 있다. 특히 요실금이 흔한 노인 여성이나 출산 후 여성 그리고 성기능에 관심이 있는 남성들에게 케겔 운동은 일상생활의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를 잡고 있다.

위 내용을 요약한다. 케겔 운동은 단순하면서도 효과적인 골반저근육 강화 운동으로 아놀드 케겔 박사의 연구 덕분에 탄생한 것이다. 이 운동은 요실금 예방 및 치료, 출산 후 회복, 성기능 개선 등 다양한 건강 문제에 도움이 된다. 

케겔 박사의 연구는 현대 의학에 이바지했다. 그의 이름을 딴 이 운동은 앞으로도 많은 사람들에게 유익한 건강관리 방법으로 활용될 것이다. 

아래와 같은 주의할 점도 있다.
※ 전립선염 환자가 케겔 운동을 할 경우 전립선 내 안력을 증가시켜 증상이 악화될 수도 있다. 
※ 잘못된 방법으로 한다면 추간판 탈출증에 의한 좌골신경통을 유발할 수 있다. 
※ 무리하게 운동하면 회음부에 강력한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잔뇨 위험성도 있다. 
※ 남성의 경우 케겔 운동을 하면 쿠퍼액이 나오거나 경우에 따라 사정(射精)할 수도 있다. 

이처럼 케겔 운동은 항문을 일정 시간 동안 조였다 폈다를 계속하는 운동이다. 나이와 성별에 상관없이 누구나 3개월 이상 꾸준하게 케겔 운동 하기를 권장한다. 위 내용은 지문표 의학박사의 자문과 감수를 받았음을 밝힌다. 

       전   대   길
(주)동양EMS 대표이사, 수필가 
국제PEN한국본부 이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