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취업 뉴스] 초고령사회 진입 앞둔 한국, 중장년 계속고용 우수기업은 어디?
[재취업 뉴스] 초고령사회 진입 앞둔 한국, 중장년 계속고용 우수기업은 어디?
  • 이윤희 기자
  • 승인 2024.12.27 10: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나도 할 수 있다" 우리 기업 해결사가 된 중장년 사례 소개
중장년 계속고용, 기업은 노하우를 근로자는 일자리를 얻는 1석 2조 효과
고용노동부가 중장년 계속고용 우수사례 10선을 발표했다. (사진은 사례집에 실린 것을 발췌함)
고용노동부가 중장년 계속고용 우수사례 10선을 발표했다. (사진은 사례집에 실린 것을 발췌함)

[아웃소싱타임스 이윤희 기자] 초고령사회 진입을 목전에 앞두고 있는 가운데 고용노동부가 중장년 계속고용에 앞장서고 있는 기업 현장 사례를 모아 소개한다. 고용부는 10개 우수기업의 사례를 소개한 '중장년 계속고용 우수기업 사례집'을 발간하고 계속고용의 효용성에 대해 알린다. 

이번 우수기업 사례들을 분석한 결과, ▲기업들은 중장년 인력을 선택적으로 계속고용하고 있으며, ▲실제 필요로 하는 직무에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령, 중장년의 강점인 숙련 기술, 생산 노하우, 경험과 공감을 담은 서비스를 발휘할 수 있는 직무에서 기업들의 계속고용 수요가 높았다. 

또 ▲우수기업들은 정년연장보다 정년퇴직자를 재고용하는 경우가 대다수였고, ▲재고용 시 임금수준을 유지하거나 중장년이 만족하는 수준으로 일부 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숙련기술을 효과적으로 활용한 사례로는 효성중공업이 소개됐다. 효성중공업은 숙련 기술이 필수적인 중전기 분야 기업으로 직원 2200여명 중 30%가 50대 이상일 정도로 숙련된 중장년 인력의 기술을 적극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기업의 숙련 기술인력 필요에 따라 60세 정년 이후에도 변압기, 전동기 등 제조 현장의 기술인력을 2년간 숙련촉탁직으로 재고용하며, 생산성에 맞춰 급여를 지급하고 있었고 2년 숙련촉탁직 이후에도 팀 요청에 따라 추가로 계약을 연장하여 70세까지 현장에서 근무하는 사례도 있었다. 

또한 필요시에는 숙련 기술 인력 뿐 아니라 사무직에서도 중장년 계속고용을 통한 재고용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원홈푸드는 축적된 생산 노하우를 보유한 중장년 조리원을 계속 고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력적으로 힘들 것이라는 우려와 달리 숙련도가 높아 업무를 원활히 해내며, 75세 조리원도 현장에서 여전히 일하고 있었다.

특히, 30~40년간 현장에서 쌓아온 노하우를 전할 수 있도록 경력직 조리사와 인턴 조리사를 1:1 매칭해 도제식으로 세부 기술과 비결, 문제해결 능력 등을 전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S리테일의 슈퍼마켓 브랜드인 GS더프레시는 중장년 직원들이 주부 경험과 공감을 바탕으로 주 고객층인 40~60대의 필요에 맞추어 상품을 추천하고 판매하는 스토어 매니저로 활약하고 있다. 특히, 매장에서 장기간 근무한 중장년 직원은 고객의 구매 습관과 유행을 잘 알고 있어 계속고용 수요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도 중장년의 경험을 높이 사 활발히 신규 채용할 뿐 아니라 60세 정년 이후 재고용을 통해 사실상 근무기한에 제한을 두지 않고 있다. 또한, 근무일수와 시간을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중장년층 직원들이 안정적으로 근무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고 있다.

이밖에 철강제조업에 동국제강과 베이케이엠솔, 선박부품제조업체 오리엔탈정공, 화장품제조업에 잉글우드랩코리아, 문구제조업 동기 바르네, 종합병원 일산복음의료재단, 요양병원 윤재의료재단 금강요양병원 등이 주요 사례로 꼽혔다.

고용노동부는 위 사례들을 비롯해 총 10편의 우수기업 사례를 책자와 다양한 콘텐츠(카드뉴스, 영상 등)로 제작하여 누리집(www.moel.go.kr), 고용24(www.work24.go.kr), 누리소통망(SNS) 등을 통해 더욱 많은 기업이 공유할 수 있도록 배포할 예정이다.

이정한 고용정책실장은 “이번 우수기업 사례집을 통해 중고령층이 가진 숙련 기술, 생산 노하우, 경험과 공감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중장년과 기업이 함께 가치를 만들어 나가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