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LM 시장 규모, 2024년 64억 달러에서 2030년 361억 달러로 급증 예상

[아웃소싱타임스 이효상 기자]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은 2024년 10월 30일 'LLM(대규모 언어 모델) 서비스 개발자를 위한 실무 교육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파인튜닝, 임베딩 모델, 멀티 모달, LangChain, RAG' 등을 온, 오프라인으로 병행해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인공지능의 열풍 속에 기업과 교육, 공공 시장 등에 최적화한 거대언어모델(LLM, Large Language Model) 시장이 달아오르고 있는 가운데, 기업이 LLM을 개별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서비스 개발자 양성의 발걸음이 바빠지고 있다.
LLM은 대규모 텍스트 데이터를 사용하여 학습되는 인공 지능 모델로써 언어 이해와 생성 작업을 자동화하고 개선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자연어 처리(NLP) 작업에서 뛰어난 성능을 발휘하며, 문장을 이해하고 생성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대표적 LLM으로는 OpenAI의 GPT 시리즈, Google의 BERT, 에이닷에 탑재된 Claude, A.x, Perplexity 등이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마켓앤마켓(MarketsandMarkets)에 따르면 대규모 언어 모델(LLM) 시장 규모가 2024년 64억 달러에서 2030년 361억 달러로 급증하며, 33.2%(CAGR)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며, QYResearch는 LLM 시장 규모가 2023년 15억 9,093만 달러에서 2030년에는 2,598억 1,773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측한다.
이번 실무 교육 과정은 ▲LLM 개요 및 트랜스포머 아키텍처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LLM 파인튜닝 및 전이 학습 ▲임베딩 모델과 의미 기반 검색 ▲맞춤형 임베딩 모델 개발 ▲LLM 실전 응용 및 운영 등에 대하여 단계별로 개념부터 사례를 통한 실무 적용기법 그리고 성능 최적화 방안까지 LLM 사용의 모든 부분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연구원 관계자는 "LLM은 AI 기술의 중요한 부분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을 이끌고 있다. 자연어 처리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며, 미래의 가능성을 열어가는 LLM의 발전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이어 "이번 실무 교육은 LLM 이해를 위한 ChatGPT 활용부터 실제 프로덕트 수준의 AI 서비스 개발, 서비스 도입 및 운영 관점의 LLMOps와 RAI까지 LLM에 대한 모든 내용을 다룸으로써 LLM 개발의 최신 노하우를 학습할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이다. 이번 교육 과정이 국내 LLM 시장을 선도하기 위한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다양한 현안 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